본문 바로가기

글쓰기11

문화 비평문의 개념과 양식, 잘 쓰는 방법 (2) 2. 문화 비평문에 들어가야 하는 내용 글쓴이의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논점이 작품의 의미를 보다 생생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작품을 제대로 비평하기 위한 논점을 설정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닙니다. 그러므로 어떤 관점을 먼저 정하기보다는 작품에 대한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정확히 이해하고 정리한 후, 그런 여러 가지 생각을 모을 수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논점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자신의 논점에 대해 확인하고 싶을 때는 같은 작품에 대해 비슷한 관점으로 비평해 놓은 글들을 참고로 하면서 논지를 보완할 수도 있습니다. 문화 비평문은 다양한 문화 텍스트 안에 내재한 미학뿐만 아니라 사회적 의미를 밝혀야 하는 글쓰기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작품이 놓인 사회, 문화적 맥락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것.. 2022. 9. 18.
문화 비평문의 개념과 양식, 잘 쓰는 방법 (1) 1. 문화 비평문의 개념. 문화 비평문이란? 21세기 현대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대중 매체에 의한 문화의 생산과 수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대입니다. 신문, 잡지, 책, 영화, 비디오, 라디오, 텔레비전, 인터넷, 음반, 애니메이션 등이 전해 주는 지식과 정보, 즐거움과 감동이 대중들의 일상 문화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목할 만한 현상은 대중들이 단순히 문화의 수용자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를 창조하는 주체로 떠오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얼마 전만 해도 문화 비평가들의 전문적인 영역으로 인식되던 문화 비평 행위가, 최근에는 대중들의 적극적인 문화 이해와 감상의 한 방법이 되고 있습니다. 대중들은 자신의 인터넷 블로그와 동호인회, SNS, 혹은 게시판을 통해 각종 문화 텍.. 2022. 9. 18.
시론 및 칼럼의 개념과 양식, 잘 쓰는 방법 1. 시론과 칼럼의 개념. 시론과 칼럼이란? 시론과 칼럼은 과연 무엇일까요? 먼저 시론과 칼럼의 개념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론(時論)의 사전적 의미는 '시사(時事)에 관한 평론'입니다. 그리고 칼럼의 사전적 의미는 '신문·잡지 등에서 시사 · 사회·풍속 등을 짧게 평하는 기사, 또는 그 난(欄)'입니다. 따라서 시론과 칼럼은 동일한 용어로 이해할 수 있다. 본래 '칼럼(column)'이라는 말은 '기둥' '원주’ ‘원주 모양의 것'을 뜻하는 라틴어 '콜룸나(columna)'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것은 신문 지면의 난(欄), 특별 기사, 매일 일정한 자리에 연재되는 단평란(短評欄) 등을 일컫습니다. 즉 칼럼은 '정해진 기고 또는 '고정란'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정리해.. 2022. 9. 18.
답사기의 개념과 양식, 잘 쓰는 방법 (2) 3. 답사기 잘 쓰는 방법 (1) 답사지에 대한 사전 지식을 충분히 습득한다. 답사할 장소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는 물론, 자신이 특별히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가 있다면 그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까지도 충분히 습득한 후 답사에 임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답사 과정 중에 중요한 사항들을 놓치지 않게 됩니다. (2) 답사기의 대상을 구체적으로 설정해 놓는 것도 좋다. 답사의 목적이 구체적일수록 답사의 일정을 보다 긴밀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불국사라는 절을 방문했을 때, 글쓴이의 답사 목적이 '탑'의 조사에 한정되어 있다면 불국사 전체를 목적 없이 보는 것보다는 보다 치밀하고 깊이 있는 답사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자신이 말하고 싶은 내용을 중심으로 답사기를 구상한다. 답사 과정 .. 2022. 9. 18.